루시아빠의 부동산 여행 블로그

반응형

아파트 관리비 연체이율(연체요율) 알아보기


2022년 3분기 공실로 비어있었던 아파트 전세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실 기간은 약 8개월 정도로 꽤나 길었습니다.

매도를 계획했기에 전, 월세 문의가 오더라도 다 거절하다 보니 공실로 비어있는 기간이 길었습니다.

해당 아파트를 기준으로 아파트 관리비 연체 시 연체이율(연체요율)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체납 관리비 독촉장이 날아왔다.

 

4개월째 관리비가 연체되니 독촉장이 우편함으로 날아왔습니다. 독촉장이라니 듣기만 해도 부담스러운 문서였습니다. 

 

관리비 연체 독촉장
관리비 연체 독촉장


그 내용은 즉, 연체된 관리비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부득이 법적조치 및 단전, 단수 등 제반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관리비 미납으로 관리소의 제반 관리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내용이 추가로 적혀있었습니다.

관리비를 확인한 후, 관리소에 관리비 연체요율을 확인하였더니, 관리비 명세서에 명시가 되어있을 것이라고 하셔서 확인해 보았네요.

 

 

관리비 명세서에 명시된 관리비 연체이율(연체요율)

미납관리비에 대하여 연 12%의 연체요율로 일할 계산된 가산금이 부과된다고 합니다.

 

아파트 관리비 연체요율
아파트 관리비 연체요율


연체료 계산식: 전월 미납관리비 * 0.12(연체요율) / 365일 * 연체일수

12%의 연체요율이라니 대출금리보다 훨씬 쎈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아파트는 연체이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타 아파트 관리비 연체요율 확인

실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도 관리비 명세서에 연체요율이 12%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적용시점은 2020년 4월 3일부터입니다.

2020년 4월이면 은행 대출이율이 2~3%였는데, 관리비 연체요율이 12%인 상황이니 생각보다 연체요율은 많이 높다는 것을 관리비를 직접 연체해 보니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체요율을 적용한 관리비 연체료 계산 예시]

예를 들어 관리비가 40만원 부과됐을 때 1달 연체료는 '40만원*12%/12개월' 계산식을 통해 4천원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1달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큰 금액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국 연체료도 한 달, 두 달 쌓이게 되면 금액이 커지게 되고, 적용 일수도 늘어나는 구조로 금액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관리비 미납이 자금 흐름에 생긴 문제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가급적 연체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카드 납부를 미리 걸어두는 것이 한 방법입니다. 카드 혜택도 볼 수 있으니 1석 2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도 이제 공실로 비워둔 아파트도 관리비는 카드 결제로 걸어두고 혜택이나 봐야될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